아저씨 (2010)

과묵하다는 이유로 동네에서 여러 루머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는, 전당포 주인아저씨 차태식(원빈)은 '절친'이 하나 있다. 언제부턴가 전당포에 들락거리는 소미(김새론)라는 꼬마 여자아이다. 어째 평범하진 않겠다 싶은 아저씨의 인생도 그렇겠지만, 이 꼬마녀석의 삶 또한 기구하다. 유흥가 댄서였던 엄마는 마약에 중독된 건 물론, 악명 높은 장기밀매조직의 약을 빼돌린 사실이 탄로나 곧 생명이 위독할 운명이다. 불길한 예감은 언제나 빗나가지 않는다. 인정이라곤 눈곱만큼도 없는 장기밀매조직은 소녀의 어미가 숨겨둔 마약을 찾기 위해 소녀를 납치한다. 이 과정에서 전당포의 아저씨가 연루되고, 표정부터 심상치 않았던 아저씨의 고된 액션이 시작된다. 아저씨는 과연 유일한 '절친', 소녀를 구할 수 있을까.


<아저씨>는 편안히 지켜보기엔 의외로 잔인한 구석이 많은 영화다. 여러모로 리암 니슨이 딸을 구하기 위해 그 믿음직스러운 액션을 선보였던 <테이큰>을 연상시키는 이 영화는, 악질 장기밀매조직의 악행을 묘사하는 부분에서 앞의 영화보다 좀 더 적나라한 장면과 설정들을 선사한다. 영화 속 악당들은 신용불량자들의 아이들을 데려다 태연하게 마약 운반책으로 쓰거나, 인간의 육체를 장기밀매라는 목적 하에 산산이 찢어 발기는 인간들이다. 영화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들의 악행을 그려내는데, 가끔 이런 직접적이지 않은 묘사가 더 소름 끼치게 다가올 때가 있다. 가령 장기밀매조직 두목 만석(김희원)이 차태식에게 소미가 장기를 내다 팔기엔 너무 어리다고 설명하는 장면은, 눈에 보이는 이미지 없이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정말 끔찍하다.

 


악행을 극단으로 몰고 가는 묘사들은 아무래도 주인공 원빈의 행위에 관객이 좀 더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제작진의 계산이었을 것이다. 악인이 좀 더 악인다워질수록 그들을 일망타진하는 영웅의 액션이 돋보이는 법이니까. 악역을 효과적으로 묘사하는 데 있어 영화는 배우들의 연기에도 많은 빚을 지고 있다. 특히 주인공을 빛내기 위해 더욱 악랄해져야 하는 두 악당, 만석과 종석 형제를 연기한 김희원과 김성오는 영화의 그 같은 의도에 백 퍼센트 응답한다. 정말 가만두고 싶지 않은 악당을 탄생시켰다. <아저씨>는 선과 악을 가차없이 이등분하고 거기에 액션이라는 화려한 양념을 친 채 관객을 유혹하는 영화다.


세계시장에서 한국영화는 폼만 잡는 액션이 아닌 마치 '개싸움' 같은 생활친화적(?) 액션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영화 <아저씨>는 그런 한국형 액션의 토대 위에 아웃사이더 영웅의 때깔을 입혔다. 몸과 몸이 원시적으로 부딪히는 액션은 물론, 동작을 아끼고 속도를 강조하는 폼 나는 액션 또한 어색하지 않게 덧붙여졌다. 또한 원빈의 액션은 영화의 스토리상 충분히 공감 가도록 그려졌으며, 때론 기존 한국영화에서 보기 힘들었던 놀라운 컷들을 선사한다(개인적으론 순찰중인 경찰에게 쫓기다 2층 창문을 깨고 바닥으로 착지하는 원빈을 한번에 찍은 컷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한국영화는 이렇게 그 카테고리를 천천히 넓혀가고 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