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 (2009)

<마더>는 <박쥐>와 더불어 2009년 최대 기대작이었다. 대중적 인지도와 비평적 성취를 동시에 이룬 이 두 감독의 신작은 언제나 팬들을 설레게 한다. 여행 전의 두근거림이 집에 돌아온 후의 피곤함에 늘 앞서 있듯이, 이들을 기다리는 동안 품었던 기대감 자체가 이미 하나의 즐거움이었는지도 모른다. 이 두 감독이 아직 만들어 내지 않은 그들 생애 최고의 걸작을 고대하는 것은 영화 팬들의 기쁨이다.

일찌감치 재야의 종소리와 함께 2009년을 떠나 보낸 지금, 개인적으로 <박쥐>가 아쉬웠다면 <마더>는 그와 정반대의 인상을 준 영화다. 스스로의 기대가 틀리지 않았음을 확인할 때 느끼는 안도와 환희.



영화 <마더>는 <살인의 추억>을 되새김질 하게 만든다. 도심을 벗어난 변두리를 배경으로 탄탄한 이야기 안에 배우들의 놀라운 연기가 펼쳐지고, 그 사이사이 감독 특유의 세밀한 연출이 팽팽한 서스펜스의 징검다리를 놓았던 바로 그 순간 말이다.


도준(원빈)은 혜자(김혜자)의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다. 예쁘장한 얼굴과 달리 행동거지가 어눌한 도준이지만, 오히려 그것이 아들에 대한 혜자의 보호본능을 강화하고 둘의 관계를 밀착시킨다. 그런 도준이 어느 날 살인 사건에 연루된다. 마을소녀의 시체가 발견된 곳에 도준의 물건이 나오면서 경찰은 그를 강력한 용의자로 지목한다. 착하디 착한 아들이 그런 짓을 할 리 없다. 혜자는 홀로 진범을 찾으러 나선다.

스릴러의 외피를 쓴 <마더>는 관객으로 하여금 살인사건의 진범을 쫓는 주인공을 조심스레 따라가게 한다. 혜자가 진짜 범인을 찾으러 다니는 동안 이 조그만 마을은 차갑고 무거운 영화의 톤처럼 왜곡된 욕망이 숨어있는 공간이 되고, 그녀에게 악몽 같은 이 며칠은 결국 끔찍하게 변질된 모성애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시간이 된다. 영화는 초반 관객에게 범인이 누군지 상상해보라고 주문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그 보다 더 충격적인 영화 속 사실들을 하나 둘 꺼내 보여준다. 언론에 종종 보도되는, 외딴마을의 성범죄 뉴스나 처지를 비관한 가족의 자살기도 사건들이 연상되는 <마더>의 숨은 플롯들은 영화의 메인 소재인 살인사건을 압도한다. 단순히 범인을 찾는 데에만 집중한 이야기들이 사건의 전말이 드러난 이후 진범을 확인한 관객들에게 허탈함만을 안겨 준다면, <마더>는 처음엔 숨어있다 차차 수면 위로 올라오는 불편한 진실들로 관객의 눈을 끝까지 잡아둔다. 영화는 잔인한 장면 하나 없이 보는 이의 원초적 호기심을 건드리는 데 성공한다.

‘모성’이라는 영화 밖 견고한 가치관이 영화 속에선 마주보기 불편한 광기로 탈바꿈한다. ‘국민엄마’ 이미지에 갇혀 있던 김혜자가 뒤틀린 모성의 그 섬뜩한 실체를 연기하는 것은 그 자체로 전복적이다. 그녀가 무심코 고개를 들어 카메라를 응시하면 마주친 시선에 소름이 돋는다. <마더>에선 사실 그 어떤 영화적 테크닉보다 보는 이의 간담을 서늘케 하는 김혜자의 눈빛이 인상적이다. 그녀를 ‘국민엄마’라는 카테고리에 고정시키는 것은 이 놀라운 ‘배우’에 대한 무례함이다. <마더>는 그것을 일깨워주는 영화다.


김혜자와 더불어 원빈, 진구의 각자의 캐릭터에 밀착된 연기는 영화에 설득력을 더한다. 여기에 진태(진구)가 자신을 진범으로 의심하던 혜자의 집에 들어와 그녀를 위협하다 오히려 수사방향을 알려주는 시퀀스에서의 으스스함이나, 살해된 소녀의 주변 아이들을 취조할 때 과거와 현재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교차되는 장면, 중요한 단서가 제시될 때마다 배가되는 영화적 리듬감은 <마더>와 봉준호 감독을 기다렸던 긴 시간을 아깝지 않게 해준다.

봉준호의 <마더>는 감독에 대한 신뢰를 굳히는 영화다. 이 영화는 CGI에 주목하다 다소 맥 빠지는 이야기구조를 드러낸 <괴물>보다 훨씬 역동적이고 충격적이다. 그의 다음 영화, <설국열차>를 기다리는 이들에게 지금 이 순간은 가장 설레고 즐거운 시간일 것이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