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에 이어 “Slip of the Tongue” 앨범으로 ‘백투백 홈런’을 친 화이트스네이크 “1987”의 어마어마한 성공에 비하면 소소하게 보이지만, 이 음반에 이어 발표된 화이트스네이크의 1989년 앨범 “Slip of the Tongue” 역시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결과물이었다. RIAA(미국 음반 산업 협회,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의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Slip of the Tongue”은 1990년까지 미국 시장에서 플래티넘, 즉 100만장의 판매고를 달성했다. 만루 홈런까지는 아니라도 지난 타석(“1987”)에 이은 ‘백투백 홈런’이라 여길 만하다. (엄밀히 말하면, 밴드의 1984년작 “Slide It In” 이후 세 장의 앨..
2017년 발매된 화이트스네이크(Whitesnake)의 “1987: 30th Anniversary Edition” 2017년, 화이트스네이크(Whitesnake)의 “1987” 앨범 발매 30주년 기념 음반이 발매되었다. 이때 발매된 앨범의 구성은 버전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크게 2CD, 4CD(+DVD)와 LP(Vinyl) 구성이 있는데, 이중 2CD 음반도 두 번째 CD에 데모와 리믹스 트랙이 담긴 것과 “1987” 앨범 발매 후 이루어진 투어의 라이브 트랙이 있는 것으로 나뉘어진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CD2에 앞서 말한 라이브 트랙이 담겨있는 2CD 버전이다. 앨범 커버에는 “1987: 30th Anniversary Edition”이라고 쓰여있다. 앨범의 뒷면을 보자. 왼쪽에는 “198..
내게 마이 앤트 메리(My Aunt Mary)의 음악은 항상 '청량감'이라는 단어와 함께 떠올려진다. '맑고 시원한' 그 느낌은 언뜻 세련된 팝 사운드와도 통하고 통쾌한 락의 질주감과도 연결되곤 했다. 더불어 그들의 음악이 가진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그 풍부하고 예민한 감수성이었다. 밴드의 프론트맨이었던 정순용의 솔로 프로젝트인 토마스 쿡(Thomas Cook)의 음악에서도 그 감수성은 어김없이 살아있다. 아니, 극대화되었다. Thomas Cook Journey (2011) 01. 솔직하게 02. 아무 것도 아닌 나 03. 집으로 오는 길 04. 노래할 때 05. 청춘 06. 불면 07. 폭풍 속으로 08. 꿈 토마스 쿡의 두 번째 앨범인 [Journey]는 한 곡도 버릴 게 없는 앨범이라는 수식어가..
메탈리카의 [Load] 앨범이 나왔을 때, 수많은 매체와 팬들은 이 스래쉬메틀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가 드디어 얼터너티브 열풍에 잠식당했다고 호들갑을 떨었다. 리프는 타이트한 맛을 잃고 설렁설렁 그루브를 타기 시작했으며, 제임스 햇필드의 목소리는 이전보다 멜로디를 표현하는데 관대해졌다. 사실상 블랙 앨범을 통해서도 들을 수 있었던 이전보다 유연해진(나는 '세련된' 이라고 표현하고 싶다만) 사운드가 [Load]에 와선 마치 그들의 사운드에 심취해온 팬들에 대한 배신의 증표처럼 여겨졌다. 'Nothing Else Matters'나 'Unforgiven'은 무뚝뚝한 스래쉬 마초로부터 발견한 부드러운 일면으로 칭송 받았지만, 'Mama Said'는 아무 특징 없는, 힘 빠지는 발라드로 낙인 찍혔다. Metalli..
작년 말엔가 EBS 스페이스 공감에서 조규찬은 히트곡 없는 아티스트의 비애(?)를 재치 있게 고백했다. 형 조규만의 히트곡을 자신의 곡인 줄 알고 다가온 팬의 이야기였다. 글쎄, 즐거운 농담이긴 했지만 어째서 이 놀라운 아티스트에겐 전 국민이 알만한 유명한 곡이 없는 걸까 의문이 들 때가 있다. 조규찬의 음악에서 장르는 의미가 없다. 록에서부터 알앤비까지 각 장르의 특성들을 음반 안에 자유롭게 구현해내는 중에도 결코 자신만의 색깔을 놓치지 않는 대한민국의 유일무이한 아티스트. 그는 어쩌면 규모에 초점을 맞춘 '국민가수'라는 공허한 팻말 대신 탄탄한 매니아층을 거느린 '아티스트'의 호칭만으로 만족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달에서 온 편지]는 어쿠스틱 사운드로 편곡된 조규찬의 대표곡들을 담고 있다. '라이브'..
80년대에 날고 기는 밴드 중에서도 저니(Journey)는 독보적이었다. 그들의 80년대 마지막 앨범, 즉 공식적인 해체 바로 전 작품인 [Raised On Radio] 역시 로스 밸로리(Ross Valory)와 스티브 스미스(Steve Smith)가 빠진, 닐 숀(Neal Schon), 조나단 케인(Jonathan Cane), 스티브 페리(Steve Perry)의 삼인조 체제만으로 더블 플래티넘의 판매고를 우습게 넘었다. 최전성기라 할 수 있는 80년대 초중반에 공개되었던 그 이전 앨범들은 더 말해 무엇하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저니의 대다수 명곡들이 이미 이때 다 나왔고 당시의 공연 영상소스들을 봐도 이들이 당시 자신들의 성공에 얼마나 들 떠 있었고 그것을 충분히 즐기고 있었는지 느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