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겨울 조깅을 위한 용품과 옷차림 아침에 달리기 전 아이폰 날씨 앱을 보니 기온이 영하 1도였다. 춥다고 하기도 뭣하고 그렇다고 시원하다고 표현하기엔 차갑게 느껴지는, 초겨울 날씨다. 동장군이 오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조금 있지만, 11월에도 아무 준비없이 달리면 낮아진 기온과 싸늘한 바람에 몸 곳곳이 꽤 시리다. 귀, 코, 손이 특히 그렇다. 11월 들어 달리기를 하면서 겨울 용품을 하나 둘 꺼냈다. 바람에 스치는 귀는 비니모자가, 시린 코는 마스크가, 차가운 손은 장갑이 막아준다. 달리다보면 체온이 올라 이런 방한 용품이 필요없어지기도 하지만, 찬 공기에 적응이 필요한 달리기 초반에는 유용하다. 2023년 11월 21일, 아침 조깅 때 기온이 영하 1도였다. 11월에는 비니, 장갑과 함께 달린다. ..
애플워치와 아이폰 운동 데이터 중 칼로리 소모량 살펴보기 애플워치와 아이폰이 알려주는 운동 데이터를 자주 본다. 데이터가 쌓이면 운동을 하면서 내 몸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달리기로 인한 체중 변화, 2023년 5월부터 9월까지’라는 글에서 썼듯, 내 몸무게는 2023년 5월부터 9월까지 약 78kg에서 72kg으로 감소했다. 11월인 지금은, 73kg 정도의 체중에 머물러있다. (운동 후에는 72kg까지 떨어지고, 배부른 식사 후에는 74kg까지 올라간다.) 체중 변화는 칼로리 소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달리는 거리를 천천히 늘리면서 내 신체는 점차 더 많은 칼로리를 소모해왔을 것이다. 같은 시기 식사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섭취하는 열량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칼로..
2023년 10월 21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증상은 10월 20일 저녁부터 시작되었다. 자기 전부터 목이 따끔따끔했다. 그날 밤 두통과 오한이 더해져 잠을 여러 번 설쳤다. 팬데믹 기간 내내 마스크도 열심히 쓰고 손 소독제도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했더니 감기 한 번 걸린 적이 없었다. 오랜만에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났는데 혹시 코로나19가 아닐까 싶었다. 토요일(21일) 아침 근처 이비인후과에 가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았다. 결과는 코로나19 양성. 2023년 10월 21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나는 인후통, 두통, 오한, 약간의 가래 기침 콧물, 근육통이 증상이었는데 각 증상을 완화시켜 줄 약을 처방받았다. 감기 증상에 따른 약 처방과 다를 바 없었다. 코로나19 치료제인 ..
‘심박수 회복’이란? 달리기를 마치면 애플워치와 아이폰 건강(Health) 앱, 피트니스(Fitness) 앱에서 보여주는 여러 데이터를 둘러보는 게 하나의 취미가 되었다. 내가 활동한 거리, 소모한 열량 등 정보를 보면, 내가 운동을 어떻게 진행해 왔고 운동이 내 몸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최근 ‘심박수 회복(Cardio Recovery)’이라는 데이터가 눈에 띄었다. 아이폰에서는 Cardio Recovery라고 되어 있고, 보다 보편적으로 Heart rate recovery(HRR)라고 불리는 이 값은, 운동 중 심박수가 운동 후 얼마나 빨리 휴식 중 심박수(resting heart rate) 혹은 정상 심박수로 돌아오는 지를 측정한 것이다. 운동은 우리가 스스로의 몸에 스트레스를..
꾸준히 달리는 동안 몸무게는 어떻게 변했을까? 달리기를 시작한 가장 큰 이유는 낮 동안의 무기력, 피로 때문이었다. 잠을 잘 잔 다음 날도 집중이 잘 되지 않고 졸린 경우가 자주 있었다. 운동 삼아 몸을 움직이면 이런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달리기 시작했다. 살빼기, 체중 감량은 달리기로 이루려고 한 목표가 아니었다. 일단 내가 먹는 것을 무척 좋아한다. 한꺼번에 많이 먹을 수 있는 위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그 대신 자주 먹는 편이다. 먹고 싶은 것(아이스크림, 빵, 과자 등)을 몸을 생각해 먹지 않은 적도 드물다. 이런 식습관을 가진 채 달리기만 한다고 체중이 빠질 것이라 기대하지 않았다. (그리고 달리기의 효과에 대해 쓴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근육을 포함한 체중이 아닌..
내가 왜 달리는 지 회의가 들 때, 달리기의 효과를 생각하자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달리다 숨이 가빠지고 몸이 힘들어질 때면 내가 왜 이러고 있나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럴 경우 듣고 있던 음악이 계속 달릴 힘을 줄 때도 있고, 이미 경험해 본 맛인 ‘땀 흘린 운동 후의 상쾌함'이라는 기억이 도움을 줄 때도 있다. (내 경우 이 ‘상쾌함'을 기억해 내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 같다.) 내가 지금까지 5km, 10km를 넘게 달린 횟수. 5km 이상의 거리를 달리기 시작한 것은 올해(2023년) 5월이었다. 꾸준히 달려보자! 그러나 이도 저도 나를 계속 달리게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그럴 땐 달리기가 내 몸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떠올리려 애써본다. 지금 한 발짝 한 발짝 ..